본문 바로가기
Algorithm/BOJ

15. SW_Test 연습 백준 17135번 캐슬 디펜스

by KurkurJae 2020. 4. 26.
반응형

문제

캐슬 디펜스는 성을 향해 몰려오는 적을 잡는 턴 방식의 게임이다. 게임이 진행되는 곳은 크기가 N×M인 격자판으로 나타낼 수 있다. 격자판은 1×1 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고, 각 칸에 포함된 적의 수는 최대 하나이다. 격자판의 N번행의 바로 아래(N+1번 행)의 모든 칸에는 성이 있다.

성을 적에게서 지키기 위해 궁수 3명을 배치하려고 한다. 궁수는 성이 있는 칸에 배치할 수 있고, 하나의 칸에는 최대 1명의 궁수만 있을 수 있다. 각각의 턴마다 궁수는 적 하나를 공격할 수 있고, 모든 궁수는 동시에 공격한다. 궁수가 공격하는 적은 거리가 D이하인 적 중에서 가장 가까운 적이고, 그러한 적이 여럿일 경우에는 가장 왼쪽에 있는 적을 공격한다. 같은 적이 여러 궁수에게 공격당할 수 있다. 공격받은 적은 게임에서 제외된다. 궁수의 공격이 끝나면, 적이 이동한다. 적은 아래로 한 칸 이동하며, 성이 있는 칸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게임에서 제외된다. 모든 적이 격자판에서 제외되면 게임이 끝난다. 

게임 설명에서 보다시피 궁수를 배치한 이후의 게임 진행은 정해져있다. 따라서, 이 게임은 궁수의 위치가 중요하다. 격자판의 상태가 주어졌을 때, 궁수의 공격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적의 최대 수를 계산해보자.

격자판의 두 위치 (r1, c1), (r2, c2)의 거리는 |r1-r2| + |c1-c2|이다.

입력

첫째 줄에 격자판 행의 수 N, 열의 수 M, 궁수의 공격 거리 제한 D가 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격자판의 상태가 주어진다. 0은 빈 칸, 1은 적이 있는 칸이다.

출력

첫째 줄에 궁수의 공격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적의 최대 수를 출력한다.

제한

  • 3 ≤ N, M ≤ 15
  • 1 ≤ D ≤ 10

 

 

#pragma warning (disable : 4996)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cstdio>
#include<queue>
#include<vector>
using namespace std;
int N, M, D;
bool selpoint[16];
int ans = 0;
struct aimMan{
	int y;
	int x;
	bool life = true;
};
vector<aimMan> aimMans;
vector<aimMan> tmp_aimMans;
void down() {
	for (int index = 0; index < tmp_aimMans.size(); index++) {
		if (tmp_aimMans[index].life == true) {
			tmp_aimMans[index].y++;
			if (tmp_aimMans[index].y == N) {
				tmp_aimMans[index].life = false;
			}
		}
	}
}
bool alldie() {
	for (int index = 0; index < tmp_aimMans.size(); index++) {
		if (tmp_aimMans[index].life == true) {
			return false;
		}
	}
	return true;
}
void selectPoint(int cnt, int Maxcnt, int index) {
	if (cnt == Maxcnt) {
		vector<pair <int, int>> attackMan;
		int diePoint = 0;
		tmp_aimMans = aimMans;
		for (int i = 0; i < M; i++) {
			if (selpoint[i] == true) {
				attackMan.push_back(pair <int, int>(N, i));
			}
		}
		while (!alldie()){
			vector<int> dieMan_index;
			for (int index = 0; index < attackMan.size(); index++) {
				int d_index , dieMan_y, dieMan_x, dieMan_long;
				bool dieflag = false;

				for (int i = 0; i < tmp_aimMans.size(); i++) {
					int D_long = abs(tmp_aimMans[i].y - attackMan[index].first) + abs(tmp_aimMans[i].x - attackMan[index].second);
					if (tmp_aimMans[i].life == false) continue;
					if (D >= D_long) {
						if (dieflag == false) {
							d_index = i;
							dieMan_y = tmp_aimMans[i].y;
							dieMan_x = tmp_aimMans[i].x;
							dieMan_long = D_long;
							dieflag = true;
						}
						else {
							if (dieMan_long > D_long) {
								d_index = i;
								dieMan_y = tmp_aimMans[i].y;
								dieMan_x = tmp_aimMans[i].x;
								dieMan_long = D_long;
							}
							else if (dieMan_long == D_long) {
								if (tmp_aimMans[i].x < dieMan_x) {
									d_index = i;
									dieMan_y = tmp_aimMans[i].y;
									dieMan_x = tmp_aimMans[i].x;
									dieMan_long = D_long;
								}
							}
							else {
								continue;
							}
						}
					}
				}
				if (dieflag == true) {
					bool f = true;
					for (int i = 0; i < dieMan_index.size(); i++) {
						if (dieMan_index[i] == d_index) {
							f = false;
							break;
						}

					}
					if (f == true && dieflag == true)
						dieMan_index.push_back(d_index);
				}

			}
			for (int i = 0; i < dieMan_index.size(); i++) {
				tmp_aimMans[dieMan_index[i]].life = false;
			}
			diePoint += dieMan_index.size();
			down();
		}
		ans = max(ans, diePoint);
	}
	else {
		for (int i = index; i < M; i++) {
			if (selpoint[i] == true) continue;
			selpoint[i] = true;
			selectPoint(cnt + 1, Maxcnt, i);
			selpoint[i] = false;
		}
	}
}
int main() {
	//freopen("input.txt", "r", stdin);
	scanf("%d %d %d", &N, &M, &D);
	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		for (int j = 0; j < M; j++) {
			int input;
			scanf("%d", &input);
			if (input == 1) {
				aimMan a;
				a.y = i;
				a.x = j;
				aimMans.push_back(a);
			}
		}
	}
	for (int num = 1; num <= 3; num++) {
		selectPoint(0, num, 0);
	}
	printf("%d", ans);
	return 0;
}
반응형

댓글